청년희망적금 600만원 이체한도초과 해결 방법

청년희망적금은 2022년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한시적으로 가입이 가능했던 청년 관련 정책 지원으로 운영된 적금 상품입니다. 이 상품은 월 한도 50만원으로 2년 약정으로 가입을 하면 이자와 더불어 지원금을 추가로 주었죠. 최종적으로 받는 금액을 감안하면 거의 10%에 가까운 금리를 적용 받는 상품이었습니다.

앞에서 월 한도 50만원이라고 했죠? 그럼 50만원이 12번 모이면 600만원이 됩니다. 즉, 이 상품은 1년 이체한도가 600만원입니다. 적금의 경우 매월 초 이체를 할 경우 이자가 조금이라도 더 쌓이게 됩니다. 그래서 매월 초로 자동이체를 해 놓으신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.

그런 분들이 1년이 지난 2월 자동이체가 이체한도 초과로 실행이 되지 않았을텐데요. 이번 글에서 청년희망적금 600만원 이체한도초과 해결 방법,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
청년희망적금 600만원 이체한도초과

왜 600만원이 초과되었을까요? 현재 이 문제가 발생한 분은 2022년 2월에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하셨고, 가입하면서 50만원 바로 납부하고 3월부터 매월 초 자동이체를 했거나 수동으로 매월 50만원 한도를 가득 채워서 내신 분들일 것입니다.

즉, 현재까지 납부한 금액 살펴볼까요? 청년희망적금 600만원 이체한도초과 문제가 발생한 분들은 아래 패턴으로 이체를 하셨을거에요.

  • 2022년 2월 : 50만원
  • 3월부터 12월까지 10개월간 : 50만원 (합계 500만원)
  • 2023년 1월 : 50만원 (누적으로 600만원)

그럼 2023년 2월 초에 추가로 50만원을 납부하려고 하니? 1년 한도 600만원에 걸려 버린 것입니다. 당연히 이체가 되지 않습니다.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

청년희망적금 이체한도초과 해결 방법

청년희망적금 이체한도초과 해결 방법은 매우 쉽습니다. 2022년 기준 가입을 했던 날, 아마도 2X일이 되겠죠? 처음 가입 시작이 2월 말이었으니까요. 그 날이 지나면 이체가 가능해 질 것입니다. 그때부터는 1년이 지나갔으니까 가능합니다.

가입했던 날 (2X일, 날짜는 각자 확인하세요) 다시 이체를 하시면 됩니다. 28일에 가입한 분은 어떻게 하냐고요? 28일에 이체를 하시면 됩니다. 개설일 기준 1년은 27일에 365일을 다 채운 것이기 때문입니다.

2월 이체가 실행되지 않았으니 2월의 한도 50만원은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이니까요. 이렇게 기다리시면 됩니다. 당황하지 마시고, 가입했던 날을 잘 챙기세요.

청년희망적금 자주 묻는 질문에 대한 해결 방법 참조해 보시고요. 매월 10만원 단위로 얼마씩 내면 얼마를 받는지도 알아보시면 좋습니다. 나는 어느 정도의 장려금을 받는지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.

이상으로 청년희망적금 600만원 이체 한도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한 정리를 마칩니다. 만기까지 잘 유지하시기 바라고, 2023년 중반에 출시하게 된다는 청년도약계좌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시기 바랍니다.

Similar Posts